환경설정/GIT

Github 가입하고 첫 commit 올려보기

dpswlsldj 2021. 3. 14. 23:49
728x90

홈페이지가 그때그때 변경돼서 조금씩 다르긴 합니다만, 대충 sign up 누릅니다.

devji, dev-ji 다 누가 쓰고있네요... devji-kr 로 가봅니다.

다음으로 나오는 설문은 별로 안 중요하니 아무거나 대충 찍고 넘어가겠습니다.

 

이메일을 확인하여 Vefiry email address를 해줍니다.

Create a repository 로 갑니다.

다음은 새로 생성할 git 저장소에 대한 이것저것 설정입니다. 설정한 이후 Create Repository를 선택합니다.

Repository name 사용할 저장소 이름입니다.
Description 사용할 저장소에 대한 설명입니다.
Public / Private 자신의 저장소에 올린 소스를 공개할지, 개인적으로 사용할지 정합니다.
Add a README file 자신의 프로젝트를 설명하기 위해 README 파일을 생성하고는 하는데 미리 자동으로 생성해두고 싶다면 체크합니다.
Add .gitignore .gitignore 파일은 자신의 Local PC에서 작업한 후 Git 저장소에 업로드할 때, 올리고 싶지 않은 파일들을 설정하는 파일입니다.

암호 키라던지 빌드 후 생성된 파일들이라던지를 이곳에 추가하여 사용하게 됩니다.
Choose a license 자신의 프로젝트에 대한 저작권을 설정합니다. GPL, MIT, Apache 등등이 있습니다.
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.

GitHub Discussions라는 기능이 생겼네요. Get started로 살펴보시거나 대충 Got it!으로 넘어갑니다.

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.

 

 

 

녹색 Code 버튼을 누르고 나오는 주소를 복사한 뒤 자신의 GIT이 설치된 OS에 다운 받아봅니다.

 

저는 Ubuntu에서 해보겠습니다.

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devji-kr/myfirstgit.git

잘 받아졌습니다.

 

아래와 같은 명령어들로 파일들에 몇 가지 변화를 줘보겠습니다.

$ vim README.md

#아무거나 라인을 추가해봅니다.

#myfirstgit
My First Git
My First Commit
:wq

파일도 두 개 생성해봅니다.

$ touch file_a
$ touch file_b

file_b는 자동으로 업로드되지 않게 설정해 보겠습니다. .gitignore 파일에 설정합니다.

$ vim .gitignore
# 맨 아래 라인에 추가합니다.
file_b
:wq

저는 저장소 생성 시 .gitignore 파일을 java 형태로 자동 생성하였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모양새가 됩니다.

git status 명령을 입력해보면 현재 어떤 파일이 수정되었는지, 새로 생성/삭제 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.

$ git status

이 파일들을 저장소에 업로드 하기 위해서는 staged 상태로 변경해줘야 합니다.

 

-A 옵션은 all 을 의미합니다. 해당 옵션을 사용하지 않고 파일명을 하나하나 입력해줘도 됩니다.

$ git add -A

수행 후 다시 git status 명령을 수행하면 아래와 같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자 그러면 commit을 생성해 봅시다.

$ git commit

아래와 같은 화면이 발생합니다. 이 template은 이전에 설치 시 설정해둔 것입니다.

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:wq 명령어로 저장하였습니다.

이제 git log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내가 반영한 commit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.

$ git log

git push 명령어를 입력하면 Github ID와 비밀번호를 물어보고 Github 저장소로 업로드합니다.

$ git push

브라우저에서 Github 사이트로 가서 보면 아래와 같이 README.md 파일이 변경된 것과 file_a 파일이 생성된 것. 그리고 file_b 파일이 업로드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